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미디어와예술
- 워킹홀리데이
- 호주워홀
- 식민주의
- 미디어와신화
- 세계화
- 창조사
- 세계사회포럼
- 신자유주의세계화
- 신자유주의
- 기술소외
- 호주워홀후기
- 호주 워킹홀리데이
- 강원대정리본
- 4차산업혁명
- 호주워킹홀리데이
- 워홀
- 오리엔탈리즘
- 강원대학교 #강원대학교시험
- 노예무역
- 중국현대문학사
- 인문학
- 워킹홀리데이 비자
- 강의정리본
- 반세계화
- 페미니즘
- 자본주의
- 미디어
- 신자유주의적세계화
- 신화와예술
- Today
- Total
꼬부치의 블로그
<글로벌라이제이션> 2. 노예무역과 아이티혁명 (인간의 상품화) 본문
3. 자본주의의 상품화
① 인간의 상품화
가. 노예무역과 아이티혁명
신대륙의 발견자로 추앙받는 콜럼버스가 산살바도르 섬에 도착했을 때 황금을 찾는 콜럼버스 일행에게 이곳 원주민들은 아이티로 가면 풍부한 황금색 금속이 있다는 말과 함께 아이티로 가는 길을 알려주었고 그렇게 콜럼버스는 아이티에 도착한다. 이후 스페인은 이 섬을 합병하여 자신의 지배하에 두었고 흔히 알려진것처럼 제국주의 시스템 아래 원주민을 이용한 플랜테이션 상품 작물을 재배하였고 질병 창궐, 아이티로의 노예무역 시행, 농작물을 파괴하고 노예들을 굶겨 죽이려는 목적의 고의적 기근 등도 나타났다. 이것은 매우 심각하게 아이티라는 나라를 파괴했고 약 50~100백만명으로 추정되면 원주민의 수는 15년이 지난 후 고작 6만명으로 줄어들었다.
당시 종교인이었던 신부 라스 카사스는 스페인 정부에게 원주민 노예제 폐지를 간청했고 스페인 정부도 이를 받아들여 법률상 강제 노역을 폐지시켰지만 실제로는 효과가 없었다. 결국 라스 카사스 신부는 아프리카에서 건장한 흑인을 들여오는 방법을 생각해냈고 1517년 스페인 황제 카를로스 5세는 1만 5천명의 아프리카 흑인을 아이티로 수출하는 것을 허가했고 그렇게 노예무역 및 노예제도를 실시하게되었다.
‘스페인’이라는 서구 열강국가는 인간을 수출하고 수입하며 존엄성을 망가트리고 ‘노동력’을 제공하는 하나의 ‘상품’으로 객체화 시켜버린다. 여기서 상품화 된 인간은 근대성이 없고 미개한 존재로 여겨진 ‘흑인’에 한정된다. 실제로 1685년 프랑스 흑인법에서는 노예는 '흑인'이라고 규정하며 흑인은 스스로 이성으로 무언가 결정할 수 없는 사람이라고 단정 짓는다. 타자의 은닉이 또 다시 생성된 것이다. 하지만 이에 반발하는 움직임도 조금씩 이루어 졌다.
당시 아이티는 백인 집단에서도 대농장을 소유한 ‘빅 화이트’ 이보다 적은 서너명의 노예를 소유한 ‘스몰 화이트’의 백인층과 혼혈인 ‘물라토’ 그리고 흑인 ‘노예’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피부색에 따라 ‘물라토’ 또한 차별받고 있었다. 그렇게 1789년 프랑스에서 혁명이 일어나고 이는 아이티에도 엄청난 사회적 변동을 가져오며 각 집단간의 이해관계 충돌로 갈등은 커져가고 있었다. 그러던 와중 백인과 물라토의 정치적, 경제적 이해관계 싸움과 상관없이 이들 전체에게 무시당하고 방치돼온 흑인들은 프랑스 혁명의 소식들을 접했고 자신들끼리의 해석을 거쳐 마침내 스스로 조직을 세우고 자유를 찾기 위해 봉기를 일으키게 되었다. 그 후 여러 험난한 과정들을 거쳐 ‘투생’이라는 지도자를 중심으로 마침내 1804년 1월 1일 생도맹그는 완전 독립을 선언했고 나라 이름을 식민지 이전의 섬 이름을 따 아이티로 바꿨며 아이티는 최초의 흑인 공화국이자 노예 반란으로 세운 유일한 독립국가가 되었다.
아이티 혁명은 ‘타자의 은닉’으로 자기부정의 최면에 빠져드는 ‘비서구’ 개인들의 주체성을 확인이다. 흑인들이 식민주의 세력을 자신의 힘으로 내쫓고 자유를 쟁취하였고, 다른 나라 노예들의 반란의 불시가 되었으며 이 후 노예제 폐지운동과 라틴아메리카 독립운동에 큰 영감을 주었으며 식민지 체제의 종식과 새로운 사회구조로의 변화의 시발점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투생은 노예제, 신분의 해방에 관한 물음을 스스로에게 계속 던졌으며 피부색이 누군가를 억압하는 기준이 되어선 안된다고 생각하였다. 인간이 아니 였던 사람 즉, 상품화 된 인간이 인간으로 대우받는 국가를 만들겠다는 꿈의 실현으로 ‘아이티 혁명’을 바라볼 수 있다.
사진출처 : http://newsteacher.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1/23/2018012303366.html
'돈꼬의 대학생 자료나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글로벌라이제이션> 4. 몬산토와 씨앗주권 (자연의 상품화) (0) | 2019.12.24 |
---|---|
<글로벌라이제이션> 3. 바나나공화국과 WTO (자연의 상품화) (0) | 2019.12.23 |
<글로벌라이제이션> 1. 신자유주의적 세계화와 콜롬버스의 대항해 (식민주의의 시작) (0) | 2019.12.21 |
<미디어와 젠더> 포스트식민주의 페미니즘 (0) | 2019.11.14 |
<미디어와 젠더> 포스트 페미니즘 (후기 페미니즘) / 포스트 구조주의 / 포스트 모던 / 주디스버틀러 (젠더트러블) (0) | 2019.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