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세계화
- 신자유주의적세계화
- 신자유주의세계화
- 강의정리본
- 창조사
- 세계사회포럼
- 노예무역
- 오리엔탈리즘
- 워킹홀리데이
- 신자유주의
- 신화와예술
- 강원대정리본
- 미디어와신화
- 반세계화
- 호주워홀
- 강원대학교 #강원대학교시험
- 워킹홀리데이 비자
- 자본주의
- 호주워홀후기
- 호주 워킹홀리데이
- 미디어
- 호주워킹홀리데이
- 페미니즘
- 기술소외
- 미디어와예술
- 워홀
- 인문학
- 4차산업혁명
- 식민주의
- 중국현대문학사
- Today
- Total
꼬부치의 블로그
<미디어와 젠더> 포스트 페미니즘 (후기 페미니즘) / 포스트 구조주의 / 포스트 모던 / 주디스버틀러 (젠더트러블) 본문
<미디어와 젠더> 포스트 페미니즘 (후기 페미니즘) / 포스트 구조주의 / 포스트 모던 / 주디스버틀러 (젠더트러블)
꼬부치 2019. 11. 13. 19:00<페미니즘 : 포스트구조주의와 포스트모던>
*1,2물결 페미니즘에 대한 도전
-여러 차이점에도 불구하고 초기 페미니스트들은 “역사적으로 안정되고 보편적 의미를 가진 이분법적 범주로서 젠더”에 대한 개념을 공유 but, 정체성은 생물학적 차이에 의해 나눠지는 것이 아니고 ’언어게임‘에 의해 규정된다.
*2물결 페미니즘의 보편주의적 젠더관
-젠더를 보편적 범주로 이해 / 여성을 단일 범주로 간주 (백인 중산층 여성만의 특권과 권력신장 지원)
-여성들 간의 공통성 강조 / 자매애 개념에 기초
-벨훅스 : 2물결 페미니즘 경전이라 할 베티 프리단의 ’Feminine Mystique’비판
>> Problem with no name : 여성들이 겪은 문제들은 대부분 명명X > 용어를 제정 후 문제의식↑
*2물결 페미니즘의 차이에 대한 무시/간과
-백인 페미니스트들이 간과한 이슈들 : 유색인종 여성들의 비가시성, 페미니즘 논의에서 이들의 투쟁역사를 배제함
-다른 역사, 지리적 맥락에 위치한 다른 여성들의 억압의 차이를 복잡성을 고려할 수 있는 여지 부족
-핵가족 제도와 성적 권리, 생식권만 중시 >> 인종차별은.. ?
*당면 관심사
-여성을 고정되고 자연스러운 범주로 바라보는 관점에 도전,but, 역사적,문화적,맥락적 특수성 강조
페미니스트 : 현실/지식을 사회적으로 구성된 것으로 받아들이며, 복수의 주체성, 인간 경험의 다양성을 강조하는 학파들을 수용
-포스트 구조주의.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식민주의
정체성, 담론, 성적 차이의 이론들과 관련
권력의 작동, 젠더 불평등의 재생산에 대한 보다 복잡한 이해를 제공
*포스트구조주의 페미니즘
-구조주의 : 의미화(언어의 의미 고정)의 기저에 놓인 구조에 대한 이해를 추구하는 지적운동에서 시작
-소쉬르 ‘일반 언어학 강의’ : 의미의 생산을 규정하는 구조가 존재한다.
-기호학 : 구조주의의 핵심이론 (언어, 바디랭귀지.. 의미전달의 모든 것이 기호). 의미 생산을 지배하는 사회 내 구조에 주의를 집중시킴 > 구조주의
-포스트구조주의 : 문화 텍스트와 실천의 의미를 궁극적으로 결정하는 것은 근원적인 구조라는 생각을 거부. >> 언어가 세상을 반영하는 중립적,투명한 매체가 아닌 능동적이고 구성적인 매체.언어가 현실을 구성
의미에 대한 전통적 관념을 와해 >> 의미는 결코 고정되거나 단일되지 않고, 유동적이며 모호하고 상충함. 의미는 지속적인 투쟁과 경합의 장소이다.
초기 페미니즘 | 포스트 페미니즘 |
-언어는 세상을 지시/반영한다. -구조주의 -지시적,반영적 | -언어는 세상을 구성한다. -포스트 구조주의 -구성적 언어는 현실을 만들어낸다 Identity도 만들어진다 |
-포스트 구조주의 : 구조주의를 거부. 우발적이며 사회정치적 현상으로 지식과 권력의 문제에 집중
-포스트구조주의 페미니즘
1) 문화적, 담론적 구성물로서 젠더 주체성에 관심
2) 다양한 여성성과 남성성에 관심
“대부분의 언어는 근본적으로 가부장적이다. 이는 세상을 개념적으로 분리한다. 이러한 언어/개념 체계는 남성의 이해에 봉사하며, 여성의 경험/존재는 비가시화시킨다”
*포스트모던 페미니즘
-모더니즘 : 실증주의, 과학맹신, 이성중시 >> 인간은 계속 진보한다는 ‘진보주의’ 생성
-포스트 모더니즘 : 모더니즘과의 결별을 특징으로 하는 사유체계, 포스트구조주의 언어관을 가져옴
-계몽주의의 가정들에 대한 회의
1) 절대적 진리 (구조적인 언어관, 우리가 아는 지식은 절대적 진리가 아님)
2) 언어와 객관적 현실의 관계 (프레임이 존재하는 한 객관적 현실 오롯이 못봄,)
3) 이성과 인간본성 (인간과 비인간을 구분 )
4) 사회진보 (인간 이성에 대한 회의↑, ex> 1차,2차 세계대전)
-거대서사를 문제시하기
1) 역사,이성,과학 등에대한 기존생각들(=기존의 진리)
2) 이항대립 (하나의 항을 다른항에 비해 우월시 ex> 문화/자연, 이성/감정, 남성/여성)
3) 이항구분 (순수한 사유방식이 아닌 역사적 구성물, 사회집단들 간 권력 배분에 영향)
-포스트모던 사유 : 지배적인 남성중심 관점들, 자기 충족적이며 고정되고 이성적인 주체에대한 도전
>> 주체의 본질은 고정되지 않았다. 정체성의 본질은 유동적이다.
-포스트모던 페미니스트
1) 보편주의와 관련된 질문들에 집중
2) 다른 방식으로 여성 되기/여성 되기의 다른 방식을 구성해낼 가능성에 관심을 둠
3) 젠더 수행성에 관심 >> 주체의 본질 : 탈자연화
-여성 본질주의 비판
1) 생물학 주의에 기초, 문화적으로 구성/구상되는 여성의 특징/속성의 중요성 간과
2) 남성/여성 이분법에 속하지 않는 섹슈얼리티와 정체성을 배제
*퀴어이론 (주디스 버틀러)
-여러요소들의 상호작용의 결과물 : 기존 게이/레즈비언 연구 한계 인식, 섹슈얼리티 역사에 관한 작업영향, 에이즈 위기를 둘러싼 사회운동
-퀴어 : 다양한 성 소수자들에 대한 약칭
1) 이성애 규범적 사회질서에 보다 정면으로 맞서는, 새로운 정치적 관여/참여의 신호
2) 섹스, 젠더, 성적 욕구 간 관계에 관한 기존의 가정을 문제시하고 새로운 관점의 접근
-퀴어이론가들
1) 근대적 주체관 ( 통일, 일관, 자율적 주체)을 회의 >> 이데올로기적 허구
2) 주체성/정체성 >> 순수 본질이 아닌 담론과 사회구조를 통해 구성
3) LGBT 주체성 >>고정되기보다 일시적이며 우발적
4) 기존 게이/레즈비언 연구 비판 : 이항대립 수용/ 다양한 젠더,섹슈얼리티 논의부재/ 섹슈얼리티를 안정적/고정적 정체성으로 간주
-퀴어이론
1) 정체성 안의 어떤 것도 고정되지 않았다. >> 정체성은 변할 수 있다.
2) 내면의 본질적 자아란 존재하지 않는다.
3) 정체성 : 한 사람이 경험한 것들 혹은 그사람에 대해 이야기 되온 것들이 축적된 것
4) 다른 정체성 측면과 마찬가지로 젠더 또한 일종의 수행되는 것
5) 남성성/여성성 구분은 사회적으로 구성된것
*주디스 버틀러
-<<젠더트러블>> : 페미니즘이 여성을 단일한 집관으로 다뤄온 것에 관심을 둠. 페미니즘이 ‘이성애적 매트릭스’를 수용해 옴을 주장함
-이성애적 매트릭스 : 섹스는 이분법적, 생물학적으로 주어짐/ 젠더는 섹스에 기초하여 사회화 되는 데 작용하는 문화적 요소로 간주, 여성성,남성성의 개념적,이론적 모델
-페미니즘이 제안하는 관계성 (상상된 관계)
1) 당신은 하나의 고정된 섹스를 가지고 있다.
2) 문화는 섹스에 기초해 안정된 젠더를 구성한다.
3) 당신의 젠더는 당신의 욕망을 결정한다. (반대 성을 향한)
-대안적 모델을 제시 “You have body/ my perfor an identity / may have desires”
>> 비결정적이며 화살표가 사라짐, 몸이 젠더와 정체성 결정 X, 성적욕망 예측 불가능
-젠더는 수행되는 것 >> 수행을 통해 정체성이 생산됨
-젠더는 일반적으로 네가 누구인지가 아닌 특정시점에 네가 무엇을 하느냐에 의해 규정됨
>> 전복적인 혼란을 확산시켜 당연시 되는 젠더 범주/구분이 흔들림, 궁극적으로 모두 무너져 내림
*포스트구조주의 & 포스트모던 페미니즘 비판
1) 이 두 접근법은 여성 삶의 물적 조건 분석을 포기
2) 총체적으로 발휘되는 권력 체계를 부인
3) 차이와 정체성의 문화적/담론적 구성에 관심을 돌림
4) 복수의, 변화하는 정체성 개념 >페미니즘 정치를 견인할 비전/토대 상실
5) 버틀러 : 구체적으로 ‘젠더 트러블’을 가져올 수 있는지 언급X 현대사회의 성 정치 변화 가능성에 대한 이상주의적 관점
------------------------------------------------
*위의 자료는 '참고용'으로 배포하오니, 절대 무단으로 베껴 제출하는 일 없도록 합시다.
학점의 불이익, 법적인 제재를 받을 수도 있습니다.
*위의 자료는 수업내용 정리용으로 작성된 것이니 절대 무단으로 '상업적 이익'을 위해 사용하지 않도록 합시다.
'돈꼬의 대학생 자료나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글로벌라이제이션> 1. 신자유주의적 세계화와 콜롬버스의 대항해 (식민주의의 시작) (0) | 2019.12.21 |
---|---|
<미디어와 젠더> 포스트식민주의 페미니즘 (0) | 2019.11.14 |
<미디어와 젠더> 초기 페미니즘의 학파 .페미니즘의 역사, 자유주의, 급진주의, 사회주의 페미니즘 (0) | 2019.11.13 |
대학수업자료 - 헬레니즘 철학의 탄생과 전개 (0) | 2019.10.10 |
대학수업자료 - 아리스토텔레스 이론철학 (0) | 2019.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