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호주 워킹홀리데이
- 신화와예술
- 식민주의
- 반세계화
- 워킹홀리데이 비자
- 미디어
- 창조사
- 세계사회포럼
- 세계화
- 신자유주의세계화
- 강원대학교 #강원대학교시험
- 강의정리본
- 페미니즘
- 오리엔탈리즘
- 워홀
- 호주워홀
- 신자유주의적세계화
- 인문학
- 자본주의
- 강원대정리본
- 미디어와신화
- 중국현대문학사
- 신자유주의
- 워킹홀리데이
- 미디어와예술
- 호주워킹홀리데이
- 기술소외
- 호주워홀후기
- 노예무역
- 4차산업혁명
- Today
- Total
목록신자유주의적세계화 (4)
꼬부치의 블로그
Ⅲ.세계화의 대안적 모델 1. 의식과 소통방식의 변화 신자유주의적 이데올로기가 현대인들의 의식에 많은 영향을 끼침에 따라서 사회 구조나 체제의 문제를 제기하기보다 개인의 노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사회 분위기가 만연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의 진행에 따라 기술소외를 받는 소외자들에 대한 문제의식도, 난민과 외국인노동자에 대한 혐오에 대한 의문도 제기하는 목소리는 작고 대부분의 현대인들은 각 개인에게 책임을 부과하는 양상을 띄고 있다. 여러가지의 복합적인 문제로 인해 이런 현상이 야기되어졌겠지만 가장 큰 두가지 이유는 '신자유주의적 의식의 지배' 와 '현대인의 의사소통 부재' 라고 생각한다. 앞서 언급된 '의식의 지배'에서 벗어나 이제까지 아무렇지도 않게 생각하곤 했던 사고방식들을 하나 하나 쪼개어 생각해보..
Ⅱ. 반세계화의 흐름 1. 반세계화의 개념 반세계화운동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반세계화 운동(反世界化運動, 영어: anti-globalization movement, counter-globalisation movement)은 법인 자본주의의 세계화에 반대한다. 반 세계화 운동은 또한 주로 세계 정의 운동, 대안 세계화 운동, 반 법인 세계화 운동 혹은 신자유주의 세계화에 반대하는 운동이라 불리기도 한다. 이러한 운동에 참가하는 사람들은 다음과 같은 비판적인 생각들을 가지고 있다. 대규모의 다국적 기업들이 무역 협정과 관세가 철폐된 경제 시장을 통해 막강한 정치적 권력을 가지고 있다며 비판적인 입장을 취한다. 특히 그러한 기업들은 노동 안전 기준, 노동 고용과 보상 기준, 환경 보존 원칙 그리고 국가 입법..
4. 세계화 이데올로기의 의식 지배 ① 4차산업혁명과 기술소외 증기기관의 발명으로 시작된 1차 산업혁명 이후 전기와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인류는 많은 변화를 맞이해 왔다. 그리고 지금 4차 산업혁명이 다가오고 있다는 이야기와 함께 드론, 자율주행, 3D 프린터 등의 기술들이 동시다발적으로 개발 중이다. 하지만 이 중에서도 가장 인간과 맞닿아 있는 기술은 ‘인공지능’이다. 인공지능의 발달로 인해 ‘AI’는 아예 하나의 인간으로 보아도 무방한 수준의 지적 능력을 가지게 될 것 이며 이 말은 즉, 인간이 로봇과 인공지능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인공지능은 모든 영역에 있어서 인간과 경쟁을 할 것이다. 기계는 인간보다 생산성이 높고 싸며 소비를 하지 않는다. 인간의 필요성은 낮아질 것이며 인간의 일자리..
나. 몬산토와 씨앗주권 씨앗은 모든 음식의 근원이다. 과거의 농민들은 하나의 씨앗을 키우기 위해 자연, 사람, 동물이 협력하여 키워냈다. 농민들은 환경과 상호작용하면서 씨앗을 키우는 방법을 터득해 하며 종자라는 것을 통해 먹거리에 대한 생산의 역사를 대대에 전하기도 했다. 씨앗을 심는 행위는 생명, 나눔, 순환의 의미를 담고 있다. 씨앗이라는 것은 자연의 일부라는 생각이 전통적이었다. 하지만 현대에 씨앗은 이미 상품화가 되었으며 자연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 변화한 씨앗은 생명유전공학을 통해 인간이 원하는 데로 조작, 변화되고 있다. 또한 우리의 토종 씨앗이라 불리는 것들도 타국의 기업의 것이 되어 씨앗을 심으려면 로얄티를 내고 심어야한다. 실제로 한국의 채소 50%의 종자를 몬산토가 소유하고 있고 농민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