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미디어와신화
- 오리엔탈리즘
- 미디어
- 워킹홀리데이
- 강원대정리본
- 4차산업혁명
- 워홀
- 창조사
- 호주워홀후기
- 자본주의
- 워킹홀리데이 비자
- 반세계화
- 호주 워킹홀리데이
- 세계사회포럼
- 호주워홀
- 세계화
- 노예무역
- 신자유주의
- 신자유주의적세계화
- 신화와예술
- 강의정리본
- 신자유주의세계화
- 중국현대문학사
- 미디어와예술
- 호주워킹홀리데이
- 강원대학교 #강원대학교시험
- 기술소외
- 인문학
- 식민주의
- 페미니즘
- Today
- Total
꼬부치의 블로그
#2 <전입지원금>제도 지원금대상/신청방법/장단점 - 최대 150만원 지원?? 본문
정부전입장려정책 <전입지원금 제도>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제가 매 학기마다 10만원씩 지원받고 있는 '전입 지원금 제도'에 대해 알려드릴까 합니다.
전입지원금은 정부의 인구정책의 일환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인구가 작은 농촌이나, 인구 나이대가 높은 노인도시의 같은 경우에 이 전입장려금제도를 많이 시행하고 있는거 같았어요.
'경기도'나 '서울'지역의 전입지원금은 없다고 보시면 될거 같습니다.
그렇다면 이 전입지원금은 어떻게 신청할까 궁금하시죠?
제가 살고 있는 춘천지역을 예시로 같이 한번 살펴볼까요!
(특히, 제가 대학생이니 대학생 전입장려금에 대해서 예시로 설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춘천시대학생 전입장려금>
대상
전입신고일 기준 1년 이전부터 타 시군구에 주민등록을 두고있다가 관내로 전입한 후 3개월이 경과된 춘천시 소재 대학교의 재학생
*지원제외대상 : 춘천시 외 지역으로 전출한 자, 재학중이 아닌자(휴학,제적,전학,자퇴,졸업 등)
*휴학생은 지급중단 (재신청 필요)
전입장려금 신청방법
1. 신청기간 : 연중 상시접수
2. 신청방법 :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1) 온라인 : 전입신고 '정부24시'를 통해서 간편하게 신청 가능.
(2) 오프라인 :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방문신청 가능
3. 제출서류 : 전입장려금 신청서, 주민등록초본(5년), 재학증명서, 통장사본
4. 신청자 : 학생본인
5. 기타사항 : 건강보험 가입여부 확인, 건강보험 지역가입자인 경우 국민건강보험공단에 건강보험 추가증신청 필요
6. 필수입력사항 : 학생정보(성명/생년월일/성별/주소/휴대전화/건강보험 가입상태) , 재학정보(학과명/학부,학과/학년)
예시는 <춘천시 전입장려금>을 통해 설명하였지만,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시와 지역은 위와 같이 정책을 시행할 거에요.
일반적인 지원대상은 타지역에 거주하고 있다가 다른 시로 전입신청이 끝난 사람입니다.
전입신청은 정부24시 웹사이트를 이용해서 편리하게 가능해요. (https://www.gov.kr/portal/main)
지원금과 지원대상은 시가 운영하는 정책내용에 따라 달라져요.
예시로 상주시 전입지원금은, 전입신고후 6개월 이상 거주한 자고 학생전입지원금은 20만원이 기본이지만 (중,고등학생은 최대 120만원, 경북대 상주캠퍼스 학생은 최대 160만원) 까지 가능합니다. 또 기숙사비도 지원합니다.
그럼 학생만 지원금이 나오냐고요?? 그렇지 않습니다.
*전입 군인, 의무경찰, 의무소방원, 귀농인, 기관/단체 및 기업체(개인사업자 포함) 임직원 전입지원금 등등.. 여러 지원대상을 통해서 <전입지원금제도>가 운영되고 있습니다.
꼭, 자신이 전입한 '지역이름 + 전입지원금'을 웹사이트에 쳐보고 정보를 얻으시길 바랍니다 :)
*정부 24시 웹사이트 사진 (https://www.gov.kr/portal/main)
*그렇다면 전입신고를 한 뒤에 문제점은 없었는가?*
사실 이것에 대해서는 좀 알아야 하는 부분이 있어요.
제 경험을 통해 이야기하자면,
1. 건강보험료 납부
2. 원래 거주하던 지역 혜택이 사라짐.
위 두 가지 문제점 때문에 잠시 난감하기도 하였답니다.
(1) 건강보험료 납부
전입신고를 하면 세대주가 (1인 가구이기 때문에 세대주는 당연히 제가 되었어요) 된 경우 건강보험료를 납부하라고 고지서가 날라 온답니다.
만 오천원이 좀 넘는 금액이었는데, 학생인 제 입장에서는 매달 납부하기 버거운 금액이었어요ㅠㅠ 하지만 알고보니 타지역 거주자고 대학생인 경우에는 졸업때 까지 건강보험료를 부모님 밑으로 납부하게끔 할 수 있더라고요 :) 그리고 그게 훨 씬 경제적으로 이득이라서, (만 오천원보다 낮은 금액이 부모님에게 들어감) 저는 지역 건강보험센터가서 서류제출로 이 문제를 해결했답니다.
저와 같은 상황에 있지 않은 분들은 걱정 안하셔도 될 것 같아요.
(2) 원래 거주하던 지역 혜택이 사라짐
제가 원래 거주하던 지역은 경기도였어요. 경기도는 특히 돈이 많은 지역이라 거주민들에 대한 혜택이 빵빵하기로 유명하죠 ><.
영상제작에 관심이 많은 저는 경기도에서 운영하는 시청자 미디어센터 혹은 경기도 1인 크리에이터 지원을 전입신고를 한 뒤에는 못 받게 되었어요.
또, 경기지역화폐도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최대 100만원 지원하는 정책도 시행 중인데 놓치게 되었습니다. ㅠㅠ 물론 제 생활터전이 옮겨졌기 때문에 학교생활을 하면서 두 가지 지원 다 놓칠수 밖에 없는 상황이긴 하지만 그래도 아쉽긴 합니다.
.
.
.
이제까지 전입지원금에 대한 소개를 했습니다.
제가 직접 느낀 단점도 글에 적었으니 여러분 모든 상황을 고려하고
혜택을 최대화 하시길 바랍니다 !
감사합니다.
'재테크 꿀팁 <이거 왜 안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청년우대형주택청약종합저축> 청년주택청약/대학생주택청약/주택청약 - 2021년이면 사라지는 주택청약? (0) | 2020.09.10 |
---|---|
#4 <건강보험 스케일링> 저렴하게 스케일링 받기, 치석제거 Q&A, 잇몸침식 예방 (0) | 2019.10.12 |
#3 <카카오톡 비상금대출> 마이너스통장/장단점/실사용 후기 - 최대 300만원 무조건대출? (0) | 2019.10.06 |
#1 <LH 공공리모델링 임대주택> - 월세가 5만원이라고?!? (0) | 2019.10.03 |